본문 바로가기

카운티 발전기 교환

리어칸 2023. 12. 2.

카운티 버스가 운행 중 발전기 충전불량으로 방전이 되어 시동이 꺼졌습니다. 카운티 차량은 왜 현장조치나 자가조치가 어려운지 알아보고 교체 시 주의할 점과 부품비용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운티-발전기 교환-매인 썸네일

[목차여기]

고장현상

경고등 점등.

운행 중 각종 경고등이 점등되고 엔진이 불안정합니다.


재시동 불가.

급하게 갓길에 차량을 정차한 후 얼른 시동을 껐습니다. 조금 시간이 지나서 재시동을 걸려고 하니 "딸각딸각" 소리만 나고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차량제원

입고차량은 2014년식 카운티 차량으로 마이티와 같은 D4GA엔진이 올라가 있습니다. 캠핑카로 개조가 되어 있으며 보조 배터리와 태양열 전지판이 추가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주행거리는 118,436km입니다.

제조사 모델명 제작년도 엔진형식
현대 카운티 2014년 D4GA

 

점검내용

시동회로 점검.

키를 ON으로 돌려보니 계기판에는 불이 들어옵니다. START 쪽까지 키를 돌려보니 "딸깍" 소리는 나는데 스타트 모터는 회전을 하지 않습니다.

 

"딸깍" 소리는 스타트모터 릴레이가 작동하면서 모터의 마그네트가 붙는 소리입니다. 마그네트가 붙어서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시켜 줬는데 정작 배터리 전압이 약해서 스타트모터를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해 봅니다. 상용차량의 경의 12V 배터리 2개가 직열로 연결되어 있기에 24V가 출력됩니다.

해당 차량의 경우 16V의 전압이 출력되었습니다. 일부 시스템은 정상 작동하나 스타트모터를 돌리기에는 부족한 전압입니다. 다시 말해 운행 중에 방전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차량에 시동을 걸면 발전기는 바로 충전을 시작합니다. 별도의 ON / OFF 스위치가 없기에 크게 신경 쓸 일도 없습니다. 하지만 발전기가 고장이 나면 충전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전압을 소모하기만 하고 충전을 하지 않으면 방전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전압이 점차 떨어져 각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보다 낮아지면 각종 경고등이 점등되며 "저전압 고장코드"를 띄우게 됩니다. 그러다가 연료를 분사해 주는 인젝터 회로에도 영향을 주면 시동까지 꺼지게 됩니다.


배터리 점프.

운행 중에 각종 경고등이 점등되며 시동이 꺼졌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량의 시스템이나 회로에 문제가 생겨 시동이 꺼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차량 시스템의 문제인지 발전기의 고장인지 빠르게 판단하는 방법은 배터리 점프입니다. 만약 차량의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다면 점프를 해도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방전이 맞다면 바로 시동이 걸리며 모든 시스템이 정상작동하게 됩니다. 입고차량은 점프를 하니 바로 시동이 걸렸기에 발전기가 고장 난 것이 맞습니다.

 

수리내용

원인부품 교환.

카운티 차량은 발전기 교환이 아주 까다롭습니다. 다른 상용차량들과 다르게 현장조치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엔진이 차량 앞쪽에 있기에 발전기 역시 앞쪽에 달려 있습니다.

 

카운티-발전기 어셈블리카운티-발전기 위치
발전기 장착위치

교환을 위해서는 조수석 앞바퀴를 탈거하는 것이 공간확보에 좋으며 이후에도 각종 커버를 제거해야 발전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전기에는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선이 있기에 무심코 탈거하다 플러스 선이 차체와 간섭되면 바로 쇼트가 발생합니다. 요즘 차량등은 많은 전장품이 달려있기에 쇼트 한번 잘 못나면 큰돈이 나갈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배터리의 마이너스 선부터 제거해 주고 추가 배터리의 장착유무도 확인해 줘야 합니다.

 

카운티-발전기 교환-V벨트와 연결선 탈거
V벨트와 연결선 탈거

발전기는 2개의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앞쪽 풀리에는 벨트가 걸려 있습니다. 우선 벨트부터 제거해 주고 뒤쪽의 배터리 연결선과 레귤레이터 제어 커넥터를 탈거해 줍니다. 그리고 발전기를 고정하고 있는 2개의 볼트를 제거해 주면 탈거가 가능합니다. 워낙 공간이 비좁고 볼트들도 잘 풀리지 않기에 작업이 어렵습니다.


부품 리스트.

소요된 부품은 발전기 어셈블리 하나입니다. 발전기는 재생품도 많이 유통되고 있지만 교체작업이 어렵고 고장 시 견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신품으로 많이 선택합니다. 추가적으로 할만한 작업에는 V벨트 쪽 관련부품 교체가 있습니다.

품명 품번 수량
제너레이터 어셈블리 37300-48000 1

 

부품명세서에는 교환한 부품 외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품이 일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위 표를 참고하여 품명과 품번이 일치하는 부품의 개별적인 금액을 확인해 보기 바랍니다.

발전기 부품 견적서 다운로드 링크 이미지
발전기 부품 견적서

 

마무리.

운행 중 발전기 고장으로 충전이 되지 않아 차량이 멈추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마이티의 경우 현장에서 바로 교체가 가능 하지만 카운티의 경우에는 대부분 견인해서 입고합니다.

 

요즘 출시되는 차량들은 대부분의 부품들이 전자식으로 바뀌면서 더욱 많은 전력을 소비합니다. 그만큼 발전기가 할 일이 많아졌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발전기 내부에 브러시가 마모되며 충전불량이 발생하기에 어떻게 보면 발전기는 소모품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50만 km이상 탔다면 예방차원에서 미리 교환해 보는 것이 괜찮은 생각입니다.

 

정비사례 모음

상용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비사례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니 관련업무에 종사하거나 자가정비에 도전해 보실 분들은 참고해 보기 바랍니다.

 

엑시언트 시트 에어 누기

시트 아래쪽에서 에어가 누기 되어 운행 중에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닙니다.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 파츠를 분해하여 누기부위를 찾아 조치하려 합니다. 시트 분해 방법부터 소요

discavery.tistory.com

 

 

 

E-APU CARTRIDGE 경고등

계기판에 E-APU 경고등과 CARTRIDGE라는 문구가 표시됩니다. 전자식 에어드라기 관련 고장코드가 발생한 것으로 정확한 고장내용과 점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수리 시 주의할 점 및 수리비용에 대

discavery.tistory.com

 

 

 

메가트럭 경고등 점등

아침마다 경고등이 점등되는 메가트럭 차량이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날씨가 추워진 이후부터 이런 증상이 나타납니다. 해당 증상관련하여 차량을 점검해 보고 수리방법까지 자세히 알아

discaver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