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트럭 파비스 DPF 배출가스 경고등 점등 자동재생 불가 중고차 수리
파비스 차량이 DPF 자동재생 및 수동재생이 불가하여 슈트가 8칸까지 올라간 상태로 입고되었습니다. 어떤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DPF 재생이 불가한지 알아보고 조치방법까지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여기]
01 고장현상
경고등 점등.
차량 주행 시 DPF 경고등과 배출가스(OBD)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슈트량이 5칸 이상 찼음에도 자동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슈트량이 증가합니다.
8칸까지 넘어가기 전에 수동재생을 시도해 봤으나 역시 아무런 반응이 없으며 계기판에 DPF 필터를 신속히 재생하라는 경고 문구가 뜹니다.
02 차량제원
차량 정보.
입고차량은 2021년 파비스 트럭으로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메가트럭의 후속모델입니다. 적재함은 냉동탑차로 개조되어 있으며 주행거리는 50만 Km가 조금 넘었습니다.
제조사 | 모델명 | 제작년도 | 엔진형식 |
현대 | 파비스 | 2021년 | D6GB |
03 점검내용
진단기 점검.
경고등이 점등되었다는 것은 해당 시스템에 고장코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단기를 사용하여 고장코드를 검색해 봅니다.
요소수 시스템은 DCU가 제어하지만 DPF 시스템의 경우 현대 상용차에서는 엔진 ECU가 제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DPF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엔진 쪽에서 고장코드를 검색해봐야 합니다.
엔진 쪽 고장코드를 검색해 보았더니 2개의 현재 고장코드가 발생했습니다. "P018B HC 압력센서 이상 2/HC 연료 라인 리크"와 P108E HC 압력 센서 신호 고착/HC 연료 라인 리크"입니다.
HCI 시스템.
우선 2개의 고장코드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HC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HCI 시스템입니다. (하이드로 카본 인젝션)
HCI 시스템은 DPF 재생을 위해 배기관에 연료는 분사하는 장치들을 의미합니다.
DPF 재생을 하지 않을 때는 연료 공급을 차단하는 연료차단밸브가 있으며 차단밸브 어셈블리에는 압력센서가 함께 장착되어 있어 연료라인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그 밖에도 연료 분사 컨트롤을 위한 HC 도징 밸브, 연료를 노즐로 보내는 HC 도징 파이프, 실제로 연료가 분사되는 도징 노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장치 | 기능 |
연료 차단 밸브 | DPF 미 재생시 연료 공급 차단 |
연료 압력 센서 | 연료라인의 압력을 모니터링 |
HC 도징 밸브 | 연료 분사 제어 |
HC 도징 파이프 | 연료를 배기관의 노즐까지 전달 |
도징 노즐 | 배기관에 연료를 분사 |
고장코드 설명.
HCI 시스템에 대해 대략적으로 살펴봤으니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고장코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개의 고장코드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HC 압력센서 신호이상과 연료라인 리크입니다. 연료라인 리크는 연료라인 어딘가에 균열이나 기밀불량이 발생해 연료가 빠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압력센서 신호이상은 말 그대로 HCI 시스템의 연료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센서에 들어오는 값이 규정값을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시스템의 작동상태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규정값이 있으며 이 값을 벗어날 경우 고착 또는 누유등으로 판단하여 DPF 재생을 중단해 버립니다.
HCI 연료라인은 모두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에 누유가 발생했다면 경유가 흘러나오며 경유는 쉽게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누유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고 차량의 경우 누유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해당 내용의 고장코드가 발생한 것은 연료압력센서의 출력값이 이상하게 나오다 보니 라인 어딘가에서 누유가 되고 있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실제로 라인에 누유가 없고 연료차단 밸브가 정상작동하고 있다면 결국에는 연료 압력센서 단품이상으로 해당 고장코드가 발생했을 확률이 큽니다.
HC 연료압력센서는 연료 차단 밸브 하우징에 함께 장착되어 있습니다.
회로점검.
HC 압력센서는 4 핀이지만 실제로 센서를 제어하는 커넥터는 3 핀입니다. 빨간색은 전원, 검은색은 접지, 노란색은 신호선이며 모두 엔진 ECU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간혹 커넥터 바로 뒤쪽에서 배선이 단선되거나 단락 되는 경우도 있으니 필히 확인해 주어야 합니다.
04 수리내용
원인부품 교환.
HC 연료압력 센서는 단품이 파셜로 공급되지는 않고 연료 차단 밸브와 압력센서가 일체형으로 공급됩니다. 2개의 커넥터와 연료 피드 파이프 양쪽을 탈거한 후 교체하면 됩니다.
연료 피드 파이프 조립 시 규정토크를 준수하여 크랙이나 누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아이볼트의 규정토크는 0.8 ~ 1.2 Kgf.m입니다.
조립이 끝난 이유에는 DPF 재생 조건을 충족한 후 진단기를 이용해 DPF 강제 재생을 시도해 봅니다. 30분가량 강제 재생이 이루어지고 슈트량이 감소한다면 정상적으로 수리가 된 것입니다.
강제 재생 과정에서 교환한 부품 및 연료라인에 누유가 없는지도 필히 확인해 봐야 합니다.
부품 리스트.
HC 연료차단 밸브와 압력센서는 일체형으로 공급되며 모비스에서는 "밸브-체크"라는 명칭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도징밸브, 도징 파이프, 도징 노즐 3가지도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도징 어셈블리-하이드로 카본"으로 칭합니다. 두 부품 간에는 피드 호스로 연결되어 있는데 특수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탈거가 쉽지 않습니다.
특수공구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피드 호스와 특수공구를 동시에 잡고 함께 잡아당기면 분리됩니다.
다른 이유로 하이드로 카본 도징 어셈블리를 교환할 경우 도징 노즐에 장착되어 있는 보호캡은 미리 제거하지 말고 최종적으로 배기관에 조립할 때 탈거하도록 합니다.
도징 파이프는 생각보다 길이가 긴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과 갑섭을 피하며 꺾이지 않도록 라인을 잘 짜야합니다. 무심코 노즈를 조였다가는 파이프 각도가 틀어져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품명 | 가격 | 수량 |
밸브-체크 | 119,900원 | 1 |
도징 어셈블리-하이드로 카본 | 393,800원 | 1 |
마무리.
DPF 자동재생은 슈트 게이지 5칸 정도부터 시작을 하게 됩니다. 자동재생을 위한 조건은 충족하였지만 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 자동재생뿐만 아니라 수동재생 또는 강제 재생도 불가하며 지속적으로 슈트가 쌓이게 됩니다. 8칸에서 10칸이 되면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며 출력제한 또는 속도제한까지 들어가게 됩니다.
참고로 유로 6가 적용된 마이티, 카운티, 메가트럭, 에어로타운, 파비스에는 동일한 HCI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DPF 재생조건에 대한 것은 이전에 포스팅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 보기 바랍니다.
05 정비사례 모음
상용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비사례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니 관련업무에 종사하거나 자가정비에 도전해 보실 분들은 참고해 보기 바랍니다.
'상용차 정비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파워트럭 SCR 경고등 점등 냉각수 쿨링밸브 단선 중고차 수리 (0) | 2024.09.11 |
---|---|
엑시언트 방향지시등 깜빡이 한쪽만 빠르게 점멸 중고차 수리 (1) | 2024.09.09 |
메가트럭 부동액 누수 및 엔진과열 경고등 점등 중고차 수리 (0) | 2024.07.28 |
트라고 부동액에 엔진오일 유입 오일쿨러 교환 중고차 수리 (0) | 2024.07.25 |
엑시언트 에어 게이지 과다 충전 에어드라이기 교환 중고차 수리 (1) | 2024.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