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F 수동재생 방법
현대 유로 6 트럭과 버스에는 검댕이 입자를 포집했다가 태워주는 DPF 필터 재생기능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재생을 실시할 수 있는 수동재생 방법과 그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여기]
계기판 경고등 의미
DPF & SCR 경고등.
계기판에는 2개의 비슷한 경고등이 있습니다. 바로 DPF 경고등과 SCR 경고등입니다. DPF는 배출가스 중 검댕이(SOOT)를 포집해서 소각하는 장치이고 SCR 시스템은 요소수 분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2개의 경고등은 모양이 아주 흡사하나 자세히 보면 가운데 모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양은 매연이 배출되는 뿡뿡이 모양을 하고 있으나 DPF 경고등에는 가운데 점이 8개 찍혀 있습니다. 이것은 검댕이 입자를 표현한 모양입니다. SCR(요소수) 시스템은 가운데에 느낌표 모양이 들어가 있습니다.
DPF와 SCR 경고등은 모두 배출가스와 관련된 경고등이지만 서로의 작동영역은 완전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SCR 경고등이 점등되었는데 DPF 수동재생을 죽어라 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또한 DPF 필터 재생 중에는 요소수를 태우는 것이 아니라 경유를 분사해서 550℃ 이상 승온하여 검댕이를 소각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엔지니어 분들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 이상한 정보가 유포되고 있습니다.
SOOT 게이지.
차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SOOT 게이지가 상시로 표출되는 차량이 있고 계기판 버튼 조작으로 SOOT 게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이 있습니다. SOOT 게이지는 검댕이가 포집된 양을 표시해 주며 일정량 이상 모이면 자동재생에 진입하게 됩니다. 게이지는 총 10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동재생은 조건만 맞으면 차량이 알아서 작동하기에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습니다. 보통은 SOOT 게이지 5칸 정도에 작동을 시작하고 계기판에 초록색 자동재생 작동등이 점등됩니다. 최근에는 마일리지 방식이 업데이트되어 일정한 주행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슈트게이지와 상관없이 자동재생모드에 돌입하기도 합니다.
조건이 맞지 않아 자동재생을 하지 못하고 6칸 이상 게이지가 올라갈 경우 황색 DPF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자동재생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DPF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거나 차량이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등 외부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동재생 시기
계기판에 SOOT 게이지는 DPF필터 내 검댕이 포집량을 나타내며 필터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을 측정하여 엔진 ECU가 계산하게 됩니다. 게이지는 총 10칸이며 4칸까지는 자동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포집만 합니다. (마일리지 방식 자동재생은 이루어질 수 있음)
DPF 수동재생.
자동재생 조건을 불만족하거나 재생시기를 넘기게 되면 계기판에 황색 DPF 경고등이 점등하게 됩니다. 슈트게이지 6칸에서 8칸 사이에는 수동재생을 실시해줘야 하며 "매연필터(DPF) 재생을 권장합니다"라고 문구가 뜹니다. 이후에도 수동재생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면 "매연필터(DPF)를 신속히 재생하세요"라는 문구가 1분마다 표시됩니다.
제조사 측에서는 DPF 수동재생을 슈트게이지가 6 ~ 8칸일 때 권장하고 있지만 운전자가 수동재생을 원하고 차량이 재생조건을 충족할 경우 1 ~ 8칸 아무 때나 수동재생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잦은 재생은 DPF필터에 손상을 가져옵니다.
DPF 강제재생.
만약 DPF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수동재생모드에 진입하지 못하고 슈트게이지가 9칸 이상 올라가게 되면 엔진체크등이 함께 점등되고 차량의 출력이 제한됩니다. 이때는 자동재생을 물론 수동재생도 불가하며 서비스센터에 입고하여 DPF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체크해 보고 진단기를 통하여 DPF 강제재생을 실시해야 합니다.
수동재생 방법 및 조건
수동재생 방법.
DPF 수동재생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수동재생 버튼을 3초간 눌러줘야 합니다. 버튼의 위치는 차종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버튼에 표시된 그림은 DPF 경고등과 동일합니다. 수동재생모드에 정상적으로 진입하게 되면 바로 RPM이 상승되고 DPF경고등이 점멸로 바뀌게 됩니다. 계속 누르고 있어도 차량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재생조건에 맞지 않아 시작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수동재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보통 30~40분 정도 진행됩니다. 처음 시작 10분 정도는 준비단계로 실제 검댕이 소각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초반에 재생을 이탈한다면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차종에 따라 틀리지만 마이티, 카운티, 메가트럭, 파비스는 실시간으로 게이지가 줄어들고 뉴파워트럭, 엑시언트, 유니버스는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아래로 떨어집니다.
수동재생 진입조건.
수동재생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자동재생과 다르게 정차된 상태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장시간 주차할 수 있는 공간과 머플러 주변으로 고온의 열기가 발생되기에 인화성 물질이 없어야 합니다.
항목 | 상태 |
운전자의 요청신호 | 재생버튼 3초 |
파킹 브레이크 | ON |
냉각수 온도 | 65도 이상 |
악셀,클러치,브레이크 페달 | OFF |
기어 중립 | ON |
엔진회전수(F/G 엔진) | 600 ~ 700 |
엔진회전수 (H/L 엔진) | 500 ~700 |
차속 | 1km/h 이하 |
기본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면 우선 차량이 어느 정도 예열이 된 상태여야 하기에 시동 후 바로 수동재생은 진입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기어는 중립에 있어야 하며 파킹브레이크가 채워져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액셀, 브레이크, 클러치등 어떠한 페달도 밟고 있으면 안 됩니다.
누적된 슈트량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0분 정도 수동재생을 실시하게 됩니다. 누적된 SOOT를 태우고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상 종료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권장합니다. 수동재생 진입조건은 차종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으니 아래 내용을 통해 확인해 보기 바랍니다.
수동재생 강제 종료 및 주의사항
강제 종료 방법.
부득이한 사유로 중간에 수동재생을 이탈해야만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수동재생 버튼을 3초간 누르면 수동재생이 강제종료됩니다.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는 액셀, 브레이크, 클러치 페달 중 하나라도 작동하게 되면 역시 재생이 종료됩니다.
재생이 종료되어도 엔진 RPM은 1분간 높게 유지되며 갑작스러운 온도변화에 따른 DPF 필터의 손상을 방지합니다. 이후 RPM이 정상으로 돌아온 것을 확인한 후 출발하면 됩니다.
주의사항.
수동재생 중에는 머플러가 고온으로 달궈지기 때문에 절대 손으로 만져서는 안 됩니다. 또한 다량의 배출가스가 발생하므로 직접적으로 호흡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시스템적으로는 절대 시동을 OFF 해서는 안됩니다. 수동재생 중 시동을 끄게 되면 DPF 내부에 이상 고온현상이 발생하여 DPF 필터의 파손과 엔진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자동재생, 수동재생, 강제재생까지 3가지나 DPF필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있지만 시기를 놓쳐 출력제한이 걸린 상태로 입고하는 차량이 많습니다.
운전자 분들도 어느 정도는 DPF 재생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만 문제는 SOOT 게이지가 정상적이지 않고 급격하게 차오르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아무리 수동재생을 실시하려고 노력해도 작동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DPF 시스템이 문제가 생겨 그럴 수도 있고 재생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생을 시도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고장이 생긴 건 어쩔 수 없지만 후자의 경우라면 내가 차량의 어떤 조건을 충족해줘야 수동재생을 할 수 있는지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비사례 모음
상용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비사례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니 관련업무에 종사하거나 자가정비에 도전해 보실 분들은 참고해 보기 바랍니다.
DPF 클리닝 청소
최근 출시되는 트럭과 버스에는 DPF 필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전 PMC 타입처럼 폐차할 때까지 그냥 타고 다니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마다 탈거하여 클리닝을 해줘야 합니다. DPF 클리
discavery.tistory.com
요소수 부족 시 발생현상
유로 6의 환경규제를 적용받는 차량들에는 대부분 요소수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요소수 잔량이 부족할 경우 차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관련 시스템에서 주로 발생하는 고장
discavery.tistory.com
엑시언트 경고등 점등 C100E05
엑시언트 트럭이 운행 중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면서 부조를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출력도 뚝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자가진단을 해보니 인젝터 관련 고장코드가 발생하였기에 어떻게 수리를 진
discavery.tistory.com
'상용차 정비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시언트 뉴파워트럭 인젝터 교환 (2) | 2024.01.01 |
---|---|
트라고 연료라인 막힘 가속 시 출력부족 (2) | 2023.12.24 |
DPF 클리닝 청소 (0) | 2023.12.15 |
요소수 부족 시 발생현상 (1) | 2023.12.10 |
엑시언트 경고등 점등 C100E05 (1) | 2023.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