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티 요소수 SCR 경고등 점등
마이티 차량에서 요소수 경고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요소수는 충분한데 경고등이 점등되어 당황스럽습니다. 오늘은 요소수 시스템의 핵심적인 센서인 NOX센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점검방법과 교체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여기]
고장현상
경고등 점등.
계기판에 요소수 경고등과 OBD 경고등이 함께 점등되었습니다. 요소수 경고등은 DPF 경고등과 아주 흡사하게 생겼으나 자세히 보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모양 중간에 느낌표가 있습니다. 느낌표가 보이면 요소수 경고등이고 같은 모양에 점이 8개 찍혀 있으며 DPF 경고등입니다.
보통 배출가스 계통의 경고등이 점등되면 OBD 경고등도 함께 점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고등이 점멸로 바뀌거나 엔진 체크등까지 들어온다면 출력제한이 들어갈 수 있으니 그전에 정비가 가능한 곳으로 입고해야 합니다.
해당 차량은 다행히 경고등만 들어왔지 아직 출력제한이나 속도제한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로 입고했습니다.
차량제원
입고차량은 2017년식 신형 마이티 차량으로 정식 명칭은 마이티 QT입니다. 엔진 형식은 D4GB이며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고 적재함은 냉동탑차로 출고되었습니다. 주행거리는 43만 km정도 운행하였습니다.
제조사 | 모델명 | 제작년도 | 엔진형식 |
현대 | 마이티 QT | 2017년 | D4GB |
점검내용
진단기 점검.
진단기를 사용하여 SCR(요소수) 시스템을 진단해 봅니다. 다행히 고장코드는 1개만 검색되며 코드 내용은 U029E SCR 후단 NOX센서 통신 이상이라고 나옵니다.
유로 6의 환경규제를 적용받는 차량에는 NOX를 저감 하기 위해 EGR 시스템 외에 요소수 시스템이 추가로 장착되어 있으며 배출가스 중에 NOX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2개의 NOX 센서가 장착됩니다.
전단 NOX센서의 경우 엔진에서 나오는 NOX량을 검출하여 요소수의 분사시기와 분사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후단 NOX센서의 경우 요소수를 통해 정화된 NOX량을 모니터링하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체크합니다.
만약 전단 NOX센서에서 검출된 양과 후단 NOX센서에서 검출된 양에 큰 차이가 없다면 NOX가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등을 띄우게 됩니다. 이처럼 NOX센서는 요소수 시스템 작동에 시작 역할을 하는 중요한 센서입니다.
해당 센서들은 CAN 통신을 이용해 도징컨트롤 유닛(DCU)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이 회로에 문제가 생기거나 센서 단품에 이상이 생겼을 때 NOX센서 통신 이상 고장코드를 띄우게 됩니다.
고장코드도 한 개지만 후단 NOX센서라고 친절하게 지목까지 해줬습니다. 관련회로를 먼저 점검해 보고 회로에 이상이 없으면 NOX센서 단품의 내부회로 이상으로 판단하면 됩니다.
회로점검.
2개의 NOX센서에는 각각의 전원퓨즈가 있습니다. 퓨즈박스의 위치는 조수석 앞쪽 대시보드 패드를 탈거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드 안쪽에 친절히 퓨즈들의 명칭이 적혀 있으나 워낙 방대한 내용이 오밀조밀 적혀있어 위치가 많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NOX센서 퓨즈는 왼쪽 가장자리에 연달아 위치하며 연노랑 색상에 20A 퓨즈입니다.
NOX센서에 꼽히는 새시 측 커넥터를 탈거해 보면 4개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선 키 ON 상태에서 전원은 24V가 인가됩니다. 바로 전에 점검했던 퓨즈를 거쳐 전원이 들어오게 됩니다. 만약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퓨즈와 배선을 모두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접지는 차체 프레임과 연결되기에 크게 문제가 발생할 일이 없습니다. CAN 통신라인은 NOX 센서가 검출한 데이터값이 이동하는 통신선으로 고유의 저항값을 가지게 됩니다. 키를 OFF 한 상태에서 멀티 테스터기를 이용해 CAN 통신라인의 저항을 찍어보면 60옴 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저항을 찍어볼 때는 테스터기의 탐침봉을 2개의 핀에 동시에 찍으면 됩니다. 키 ON 상태에서 통신선 각각의 전압을 측정해 보는 방법도 있는데 규정값은 2.2V~2.5V정도 출력됩니다.
전원 잘 들어오고 접지 잘 붙어 있고 CAN 라인에 이상이 없다면 해당 고장은 NOX센서 단품의 내부 회로이상으로 판단하면 됩니다.
수리내용
NOx 센서 교환.
관련회로에는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고장코드 내용 그대로 후단 NOX센서를 교환하였습니다. 센서의 한쪽 끝에는 실제로 NOX량을 검출하는 부분이 있는데 배기 머플러에 직접 삽입되다 보니 고열로 인해 소착 되어 탈거가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과감하게 센서의 배선을 잘라버리고 복스알이나 특수공구를 사용해서 탈거해야 합니다. 기존 스패너만으로 탈거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머플러 쪽 나사산이 망가지면 오히려 더 고생을 하게 됩니다.
부품 리스트.
소요된 부품은 후단 NOX 센서입니다. 전후단 센서가 모양은 똑같으나 품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호환이 되지는 않습니다. 머플러에는 NOX센서 외에 4개의 온도센서와 검댕이 입자를 감지하는 PM센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메가트럭이나 파비스의 머플러 구조는 사각형인데 마이티나 카운티는 직선으로 뻗은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배기 저항이 없어 배기 효율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품명 | 품번 | 수량 |
후단 NOX 센서 | 29655-84300 | 1 |
부품 견적서에는 교환한 부품 외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품이 일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위 표를 참고하여 품명과 품번이 일치하는 부품의 개별적인 금액을 확인해 보기 바랍니다.
마무리.
NOX센서는 머플러에 직접 장착되다 보니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다른 센서에 비해 고장률이 조금 있습니다. 유로 6 마크가 붙어 있는 차량에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으며 마이티부터 엑시언트까지 센서의 위치나 품번만 다를 뿐 전후단 2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은 동일합니다.
요소수 시스템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많은 부품이 장착되며 개중에는 고가의 부품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자체가 너무 복잡해서 자가진단 및 수리는 사실상 어려우며 운전자가 신경 써야 할 것은 요소수의 품질과 주기적인 요소수 필터 교환입니다. 요소수 필터는 1년 또는 10만 km마다 한 번씩 교환하면 됩니다.
배출가스 계통의 경고등이 점등되었는데 무시하고 운행을 하게 되면 엔진 체크등이 추가로 점등되며 출력제한이 들어가게 됩니다. 최종적으로는 속도제한이 20km/h로 묶이게 되므로 사실상 운행이 불가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정비소에 입고하면 좋겠지만 그럴 여건이 안된다면 속도제한이 들어가기 전에 출동 서비스를 요청하여 고장코드를 지우고 초기화시켜 임시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정비사례 모음
상용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비사례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니 관련업무에 종사하거나 자가정비에 도전해 보실 분들은 참고해 보기 바랍니다.
엑시언트 뉴파워트럭 인젝터 교환
엑시언트 차량이 시동이 잘 걸리지 않습니다. 힘들게 시동을 걸어도 RPM이 불안정하며 엔진이 부조합니다. 고압 연료라인에 해당하는 커먼레일과 인젝터 쪽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점검방법과 수
discavery.tistory.com
트라고 연료라인 막힘 가속 시 출력부족
트라고 차량에서 가속 시 출력부족이 발생합니다. 연료가 잘 안 올라오는 것 같이 액셀을 밟아도 반응이 즉각적이지 못합니다. 연료라인을 전체적으로 점검해 보고 연료탱크 내부에 있는 파이
discavery.tistory.com
DPF 수동재생 방법
현대 유로 6 트럭과 버스에는 검댕이 입자를 포집했다가 태워주는 DPF 필터 재생기능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운전자가 원하는 시간에 재생을 실시할 수 있는 수동재생 방법과 그 조건에 대
discavery.tistory.com
'상용차 정비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티 가속시 엔진소음 발생 (1) | 2024.01.11 |
---|---|
트라고 검은 매연 터보차져 교환 (1) | 2024.01.09 |
엑시언트 뉴파워트럭 인젝터 교환 (2) | 2024.01.01 |
트라고 연료라인 막힘 가속 시 출력부족 (2) | 2023.12.24 |
DPF 수동재생 방법 (2) | 2023.12.20 |
댓글